보금자리론에 쏠리고 있다! 신생아특례대출, 디딤돌대출과 까놓고 비교
서민과 실수요자를 위한 고정금리 정책 모기지 상품인 보금자리론이 최근 다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금융당국이 가계대출을 엄격히 관리하면서 은행 대출의 문턱이 높아졌고, 이에 따라 보금자리론이 반사이익을 얻은 것입니다.
한국주택금융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보금자리론의 월별 공급실적이 1조235억 원(4446건)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1조 원대를 넘어섰습니다. 그렇다면 보금자리론, 신생아특례대출, 디딤돌대출을 비교하여 각각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보금자리론: 안정적인 고정금리 대출
✅ 보금자리론 기본 개요
- 대상: 연소득 7,000만 원 이하 가구
- 대출 한도: 최대 3억 6,000만 원
- 담보 주택 기준: 6억 원 이하 주택
- 대출 금리: 연 3.75~4.05%(2025년 기준)
- 상환 방식: 장기·고정금리·분할상환 방식
- DSR 적용 제외: DSR 규제에서 제외되므로 대출 한도가 더 유연하게 적용될 수 있음

✅ 보금자리론의 인기 이유
특례보금자리론이 종료된 후, 초기에는 보금자리론의 조건이 다소 까다롭고 대출 한도도 낮아 매력이 떨어졌습니다. 그러나 2024년 9월부터 시중은행의 금리 상승과 대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보금자리론이 상대적으로 매력적인 선택지가 되었습니다. 2025년 2월에는 금리가 0.3%포인트 추가 인하되면서 더욱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2. 신생아특례대출: 출산 가구를 위한 맞춤 대출
✅ 신생아특례 주택구입 대출
- 대상: 대출 신청일 기준 2년 내 출산한 무주택 또는 1주택 세대주
- 소득 요건: 부부합산 연소득 2억 원 이하
- 대출 한도: 최대 5억 원 (LTV 70%, 생애최초 구입자는 80%)
- 대출 금리: 연 1.6%~3.3% (소득 수준 및 대출 기간에 따라 다름)
- 특례금리 적용: 5년간 적용되며, 추가 출산 시 1명당 5년 연장 (최장 15년)
✅ 신생아특례 전세자금 대출
- 대상: 2년 내 출산한 무주택 세대주
- 소득 요건: 부부합산 연소득 2억 원 이하
- 대출 한도: 최대 3억 원 (전세금의 80% 이내)
- 대출 금리: 연 1.1%~3.0%
- 특례금리 적용: 4년간 적용되며, 추가 출산 시 4년 연장 가능 (최대 12년)
✅ 신생아특례대출의 장점
신생아특례대출은 가장 낮은 금리(최저 1.1%)로 주택구입과 전세대출이 가능합니다. 특히 출산 가구를 위한 우대금리 혜택과 추가 출산 시 금리 적용 기간 연장이 큰 강점입니다. 하지만 예산이 한정적(총 27조 원)이므로 빠른 신청이 중요합니다.

3. 디딤돌대출: 서민을 위한 대표적인 주택담보대출
✅ 디딤돌대출 기본 개요
- 대상: 무주택 세대주 (신혼부부, 생애최초 주택구입자, 다자녀 가구 등 우대 가능)
- 소득 요건: 부부합산 연소득 6천만 원 이하 (신혼부부 8,500만 원 이하, 생애최초 및 2자녀 이상 7천만 원 이하)
- 대출 한도: 최대 2.5억 원 (생애최초 3억 원, 신혼부부 및 2자녀 이상 4억 원)
- 담보 주택 기준: 5억 원 이하 주택
- 금리: 연 2.65~3.95%
- LTV: 70% (생애최초 80%)
- DTI: 60%
- 실거주 의무: 대출 후 1개월 내 전입, 1년 이상 실거주 필요
✅ 디딤돌대출의 특징
디딤돌대출은 시중은행보다 저렴한 금리로 이용할 수 있으며, 생애최초 주택구입자와 신혼부부, 다자녀 가구에게 추가 혜택이 있습니다. 하지만 보금자리론보다 대출 한도가 낮고, 실거주 의무가 부과된다는 점에서 일부 조건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4. 보금자리론 vs 신생아특례대출 vs 디딤돌대출 비교표
구분 | 보금자리론 | 신생아특례대출 | 디딤돌대출 |
---|---|---|---|
대상 | 연소득 7천만 원 이하 | 2년 내 출산한 무주택 세대주 | 무주택 세대주 |
대출한도 | 3.6억 원 | 5억 원 (전세 3억 원) | 2.5억~4억 원 |
금리 | 3.75~4.05% | 1.6~4.3% | 2.65~3.95% |
소득 요건 | 7천만 원 이하 | 2억 원 이하 (25년 이후 2.5억) | 6천만 원 이하 (우대 8,500만 원) |
DSR 적용 여부 | 제외 | 일부 제외 | 적용 |
실거주 의무 | 없음 | 없음 | 1년 이상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