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을 사고팔 때 꼭 알아야 할 부동산 세금 완전 정복!

      2025. 05. 09


      부동산 세금


      부동산을 구매하거나 매도할 때 세금은 반드시 따라오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하지만 세금은 복잡하고 어려워 보이기 마련이죠. 그래서 오늘은 집을 사고팔 때 꼭 알아야 할 부동산 세금의 모든 것을 쉽고 알차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부동산을 처음 접하는 사회초년생부터 실거주를 목적으로 하는 1주택자까지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볼게요.


      부동산 세금의 세 가지 축: 취득세, 보유세, 양도세

      부동산 관련 세금은 크게 세 가지 단계에서 발생합니다.


      1. 취득 시점: 취득세
      2. 보유 시점: 재산세, 종합부동산세
      3. 양도 시점: 양도소득세


      중요한 정보 찾기


      1. 집을 살 때 내는 세금: 취득세

      취득세는 부동산을 매입할 때 한 번 납부하는 세금으로, 부동산 가격에 따라 달라집니다.


      • 1주택자 기준
        • 6억 원 이하: 1%
        • 6억9억 원 이하: 1~3% (차등 적용)
        • 9억 원 초과: 3%


      예를 들어, 8억 원 주택을 매입하고 면적이 85㎡ 이하라면, 세율 2.2%가 적용되어 약 1,760만 원을 납부해야 합니다.


      • 다주택자라면?
        • 기본 세율 8%~12%의 중과세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생애최초 주택구입자나 농어촌주택, 장기임대주택 등은 취득세 감면 혜택이 있으니 해당 요건을 미리 확인해 보세요.


      취득세는 취득일로부터 60일 이내에 납부해야 하며, 기한을 놓치면 가산세가 붙습니다.


      돈되는 세금 이야기


      2. 집을 보유할 때 내는 세금: 재산세 & 종부세

      재산세


      • 주택의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계산되며, 매년 7월과 9월에 나누어 부과됩니다.
      • 공시가격이 3억 원인 주택의 경우, 약 57만 원 수준의 재산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종합부동산세(종부세)


      • 1세대 1주택자: 공시가격이 9억 원 초과 시 대상
      • 다주택자 또는 법인: 공시가격 6억 원 초과 시 대상


      공동명의는 종부세 절세 전략으로 유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부부 공동명의로 각각 6억 원씩 나누면 12억 원까지 종부세 면제됩니다.


      과세 기준일은 6월 1일입니다. 매도 시점과 맞물려 과세 여부가 달라질 수 있으니 일정 확인이 중요합니다.


      세금 완전정복


      3. 집을 팔 때 내는 세금: 양도소득세

      양도소득세는 집을 팔아서 생긴 이익에 대해 내는 세금입니다.


      기본 구조


      • 양도차익 = 양도가액 - 취득가액 - 필요경비
      • 과세표준 = 양도차익 - 장기보유공제 - 기본공제(250만 원)


      필요경비로 인정되는 항목


      • 매입 시: 취득세, 중개수수료, 법무사 수수료 등
      • 보유 중: 인테리어 비용, 설비 교체 등 (영수증 필수!)
      • 매도 시: 중개수수료, 세무사 비용 등


      증빙자료가 없다면 공제 불가! 꼭 영수증이나 이체 내역을 보관하세요.


      1세대 1주택 비과세 조건


      • 보유기간 2년 이상
      • 1가구 1주택 (가족 모두 포함)
      • 조정대상지역이라면 2년 이상 실제 거주해야 함


      서울의 경우 2024년 기준 조정대상지역은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용산구입니다.


      고가주택 기준은 12억 원


      • 매매가가 12억 원을 초과하면 초과분에 대해 과세
      • 예: 15억 원에 판 경우, 3억 원에 대해서만 세금 계산


      보유 기간에 따라 달라지는 세율


      • 1년 미만 보유: 50%
      • 1~2년 보유: 40%
      • 2년 이상 보유: 기본세율 (6%~45%)


      장기보유특별공제


      • 3년 이상 보유 시 적용 가능
      • 최대 80%까지 공제 가능 (보유 + 거주 요건 충족 시)


      우상향 그래프


      실수하기 쉬운 세금 포인트들


      • 매도 시기 조절: 2년 이상 보유 시 기본세율로 전환 → 수천만 원 차이 날 수 있음
      • 증빙 자료 누락: 인테리어, 중개수수료 등 꼭 영수증 챙기기
      • 합산 과세 주의: 같은 해에 두 채 이상 매도하면 합산해서 세율 부과 가능
      • 과세 기준일 체크: 6월 1일 이전에 매도하면 해당 연도의 재산세, 종부세는 면제


      세금 공부하기


      요약 정리


      구분

      주요 세금

      핵심 포인트

      취득

      취득세

      주택 가격 및 면적에 따라 다름. 60일 이내 신고/납부 필수

      보유

      재산세, 종부세

      6월 1일 기준 과세, 1가구 1주택은 공제 혜택 큼

      양도

      양도소득세

      실거래가 차익 기준, 1가구 1주택 비과세 요건 중요


      마무리하며

      부동산 세금은 어렵고 복잡하지만, 미리 알고 준비하면 훨씬 수월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집을 살 때, 가지고 있을 때, 팔 때 각각 어떤 세금이 부과되는지를 이해하고, 중요한 타이밍이나 증빙자료를 잘 챙기는 것이 관건입니다.


      지금 당장 집을 사거나 팔 계획이 없어도, 언젠가를 위해 미리 세금 공부를 해두는 것, 그것이 현명한 재테크의 시작입니다.

      • #경제 꿀팁

      (주) 뱅크몰

      사업자 등록번호 : 
      107-87-86294 / 
      대표 :
      이종훈
      금융상품판매중개업 등록번호 : 
      제2021-022호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로2길 12, 9층 906호(에이스테크노타워)

      당사는 금융감독원에 등록된 온라인대출모집법인이며, 입점 금융사에 따라 상환기간, 이자율 등은 상이합니다.

      중개수수료 요구 및 수취는 불법입니다.

      대출상품 이용 시 귀하의 신용점수가 하락할 수 있으며, 신용점수가 하락하면 금융거래에 제약이 생길 수 있습니다.

      Copyrightⓒ BANKMAL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