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가격은 2024년부터 2025년 사이에 큰 변화의 파도를 타고 있습니다.
금리 변동, 규제, 정비사업, 입지 프리미엄까지—서울 부동산 시장은 그 어느 때보다 구별 양극화가 뚜렷한 시기를 맞이하고 있죠.
서울 아파트 매수 시기나 지역 선정을 고민하고 있다면, 이번 분석이 큰 도움이 될 거예요.
1. 서울 대장 아파트 시세 한눈에 보기 (2025년 기준)
아래는 대표 단지 기준 2025년 1월 전용 84㎡ 중층 매매가 정리입니다.
구 | 대표 단지 | 시세 (억원) |
|---|---|---|
서초구 | 래미안 원베일리 | 49.0 |
강남구 | 래미안 대치팰리스 | 39.9 |
송파구 | 잠실 엘스 | 25.9 |
양천구 | 목동 신시가지 5단지 | 24.5 |
동작구 | 아크로 리버하임 | 23.0 |
강동구 | 올림픽 파크 포레온 | 22.4 |
마포구 | 마포 프레스티 자이 | 22.0 |
용산구 | 한가람 | 22.0 |
종로구 | 경희궁 자이 2단지 | 22.0 |
광진구 | 광장 힐스테이트 | 21.5 |
성동구 | 래미안 옥수 리버젠 | 19.9 |
영등포구 | 당산 센트럴 아이파크 | 18.0 |
중구 | 서울역 센트럴자이 | 18.0 |
동대문구 | 청량리 롯데캐슬 SKY-L65 | 17.5 |
강서구 | 마곡 엠벨리 7단지 | 17.0 |
서대문구 | e편한세상 신촌 | 16.7 |
구로구 | 신도림4차 e편한세상 | 15.3 |
은평구 | DMC 센트럴자이 | 15.1 |
성북구 | 래미안 길음 센터피스 | 14.2 |
관악구 | e편한세상 서울대입구 | 12.0 |
중랑구 | 사가정 센트럴 아이파크 | 12.0 |
노원구 | 청구3차 | 12.0 |
금천구 | 롯데캐슬 골드파크 1차 | 11.5 |
도봉구 | 북한산 아이파크 | 9.0 |
강북구 | 꿈의숲 해링턴 플레이스 | 9.0 |
2. 서울 시세 구조 3줄 요약
- 서초·강남·송파는 여전히 독보적인 고가권
- 마포·성동·광진·용산 등 도심 접근성 높은 지역은 20억 전후 형성
- 노원·관악·금천·도봉·강북 등 외곽 지역은 가격 부담이 가장 낮은 합리적 지역
이 세 줄만 봐도 “서울 아파트 시장의 지도”가 너무 명확합니다.
3. 고가권(20억~50억대): 서초·강남·송파가 서울의 ‘가격 상단’을 만든다
서울 시세 상위권은 거의 고정 멤버입니다.
● 서초구 – 49억: 전국 최고가
래미안원베일리가 서울 전체 아파트 중 최상단을 찍고 있습니다.
학군·정비사업·한강 조망·브랜드—all premium.
● 강남구 – 39.9억: 강남 벨트의 힘
강남권 초고가 아파트들은 재건축 기대감이 여전히 살아있습니다.
강남구는 경기 둔화나 금리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어요.
● 송파구 – 25.9억: 강남3구 중 가장 합리적(?)
잠실엘스·리센츠·파크리오는 꾸준한 수요가 존재합니다.
잠실 MICE 개발, GTX 등이 여전히 시세에 힘을 주는 요소죠.
📌 특징
- 고가권은 금리 변동에도 가격 하방이 강함
- 단기보단 장기 가치 중심
- 매수자 대부분이 실거주 + 자산가치 보존 목적
4. 중상위권(17억~22억대): 입지 좋은 도시권 지역의 견고한 시세
마포·용산·광진·성동 등은 서울 핵심업무지와 가까운 지역입니다.
● 마포구: 22억
마포프레스티지자이·마포자이 등이 시세를 이끌죠.
여의도·종로·용산 접근성과 2/5/6호선 교통망이 강점.
● 용산구: 22억
정비창 개발·GTX·대통령실 이전 등 호재가 많습니다.
“미래 강남”이라는 말이 괜히 나온 게 아닙니다.
● 성동구: 19.9억
옥수·금호·왕십리 일대 수요가 탄탄합니다.
한강 접근성+도심 접근성의 조합.
📌 특징
- 워라밸 중요시하는 세대에게 인기
- 신축·브랜드 단지 중심으로 가격 유지
- 강남·서초의 고가 지역과 비교해 “대안지” 역할
5. 중간권(14억~17억대): 실수요자 중심 지역의 안정된 흐름
강서·서대문·구로·은평 등은 교통·일자리 접근성이 균형 잡힌 지역입니다.
📌 특징
- 교통 인프라 좋아 성장성 충분
- 서울에서 ‘억 단위 갭’이 비교적 적은 지역
- 신축 여부에 따라 시세 편차가 크다는 점 유의
6. 하위권(9억~12억대): 2030·신혼부부가 가장 눈여겨보는 지역
노원·관악·중랑·금천·도봉·강북은 서울 내 진입 부담이 가장 낮은 권역입니다.
📌 특징
- 7억~10억대도 존재해 서울 입문 수요 많음
- 재개발·재건축 여부가 가격에 큰 영향
- GTX-C·경전철 개발 등 교통 호재 지역 많음
7. 2024년 → 2025년 서울 아파트 시세 흐름 총평
전체적으로 서울 시세는 크게 두 갈래 트렌드를 보이고 있습니다.
① 고가권은 강하고, 외곽은 가격 저항선이 명확
강남3구·용산·성동은 금리와 경기 둔화에도 흔들림이 적습니다.
고소득 실수요자의 꾸준한 구매력 때문이죠.
② 외곽 지역은 호가보다 실거래가가 더 중요해진 시기
관악·금천·도봉·노원은 거래가 많지 않아
호가만 보면 “오른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실거래가는 다르게 움직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③ 재개발·정비사업 예정지는 향후 반등 여력 큼
성북·관악·은평·장위뉴타운 등은 미래 가치 기대가 여전히 큼.
④ 2025년은 지역별로 ‘극단적인 양극화’가 시작되는 해
금리, 공급, 규제 등 변수가 많아
같은 구 내에서도 단지별 시세 차이가 5억~10억 이상 나는 단지가 흔합니다.
8. 아파트 매수 전에 반드시 해야 할 것: 실거래가 확인
시세 파악의 기본은 항상 실거래가 조회입니다.
이때 활용할 수 있는 곳은 아래와 같습니다.
-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 서울부동산정보광장
- 민간 플랫폼(호갱노노, 부동산114, 아실 등)
특히 2025년은 “호가와 실거래가 간 괴리”가 크기 때문에
단지별로 최근 1~3개월 거래 흐름을 반드시 체크해야 합니다.
9. 뱅크몰에서 함께 확인하세요
서울 아파트 시세를 구별로 정리해보니,
2025년은 입지·브랜드·정비사업 여부에 따라 가격 편차가 가장 큰 시기임을 알 수 있습니다.
매수 계획을 세우고 있다면
시세 흐름과 함께 아파트담보대출 조건 비교는 필수입니다.
뱅크몰에서는
여러 금융사의 조건을 한 번에 비교할 수 있고
금리·한도·심사 기준 차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내 상황에 맞는 아파트담보대출 옵션을 무료로 분석해드립니다.
서울 아파트를 고민 중이라면,
지금 바로 뱅크몰에서 비교해보세요.
빠르고 정확한 정보가 좋은 결정으로 이어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