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 계약 후, 전세대출 신청까지의 모든 과정은 어떻게 될까?

      2025. 04. 17


      전세 알아보기

      전셋집 계약까지 마쳤다면 다음 단계는 전세대출 준비입니다.

      하지만 어떤 금융사를 선택해야 하는지, 어떤 보증보험이 유리한지 등 고민할 게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세 계약 이후 대출 신청까지의 절차를 자세히 안내드립니다.


      1. 전세대출, 꼭 주거래 은행에서 받아야 할까?

      많은 분들이 "주거래 은행이 금리가 제일 낮지 않을까?" 생각하지만,

      실제론 과거 거래 이력보다 ‘현재 조건’이 더 중요합니다.


      대부분의 금융사 전세대출은

      실행 후 신용카드 사용, 자동이체 등록 등 부수거래 조건만 충족하면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주거래 은행보다는 금리와 보증 조건이 더 유리한 곳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세집 알아보기


      2. 금리만 볼 게 아니다? 보증보험료까지 체크!

      전세대출 비교 시 금리뿐 아니라 보증보험료도 반드시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 A은행: 주택금융공사 보증, 금리 3.4%
      • B은행: 서울보증보험, 금리 3.5%


      만 보면 A은행이 유리해 보이지만,

      주택금융공사 보증은 매년 보증료(예: 0.12%)가 별도로 발생합니다.

      결과적으로 실질 금리는 3.52%가 되어 B은행보다 더 비싸질 수 있죠.


      👉 금리 + 보증보험료 = 실질비용

      대출 비교 시 반드시 전체 비용을 확인하세요.


      주택시세


      3. 보증보험, 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

      전세대출은 보증보험을 기반으로 실행되며, 대표적으로 아래 세 가지가 있습니다.


      구분

      주요 특징

      서울보증보험(SGI)

      전세보증금 제한 없음, 보증료 없음 (금리에 반영)

      주택도시보증(HUG)

      소득 무관, 신혼부부·청년이면 보증금의 최대 90%까지 가능

      주택금융공사(HF)

      임대인 동의 없이 가능, 다만 증빙소득 필수


      각 보증사는 보증금·소득·대출금액 조건에 따라 선택 가능 여부가 달라지니

      내 상황에 맞는 보증사를 먼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보 확인


      4. 보증보험 가입이 불가능한 경우는?

      일부 조건에 해당되면 보증보험 가입 자체가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

      • 2020년 7월 10일 이후 투기지역 내 3억 초과 주택 매수자
      • 2주택 이상 보유자
      • 현금서비스 3건 이상 보유자


      이런 경우엔 전세대출이 아예 불가능할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보증보험 정보


      5. 신협 전세대출: 보증보험 없이도 가능

      신협과 같은 일부 단위조합은 보증보험 없이 전세대출이 가능합니다.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보증금, 대출금 제한 없음 (5억 이상 가능)
      • 다주택자, 규제지역 주택 보유자도 이용 가능
      • 보증료 없음


      다만 신협 지점별로 가능 여부가 다르고,

      상품 정보를 찾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뱅크몰에서는 전국 신협과 제휴해 해당 상품까지 확인 가능합니다.


      여러가지 분석


      6. 전세대출 실행 및 잔금 절차

      상품을 결정하고 서류 접수가 완료되면,

      잔금일에 맞춰 실행됩니다.


      • 대출금 입금 시간을 금융사에 확인하고,
      • 임대인에게 예상 입금 시간 안내
      • 계약금 + 대출금 외의 나머지 잔금을 임대인에게 직접 입금합니다.


      절차 제대로 알기


      7. 전입신고는 ‘반드시’ 해야 하는 이유

      이사 당일, 바쁘더라도 전입신고는 절대 잊으면 안 됩니다.


      전입신고를 하지 않으면:

      • 임차인 보호를 위한 대항력이 생기지 않으며
      • 전세대출 회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보통은 계약 후 30일 이내 전입신고를 해야 하지만,

      불가피했다면 이사 당일이라도 서둘러 신고하세요.


      마무리하며

      전세 계약 이후 대출까지의 절차는 생각보다 신경 쓸 부분이 많습니다.

      단순히 은행을 고르는 것이 아니라,

      보증보험 조건, 금리·보증료 비교, 시기 조율, 전입신고 여부까지

      모두 꼼꼼히 챙겨야 안정적인 실행이 가능합니다.


      뱅크몰에서는 시중은행 상품은 물론, 보증보험 없이 가능한 신협 상품까지

      비교할 수 있으니, 내게 맞는 대출 조건을 찾아보시길 바랍니다.

      • #경제 꿀팁
      • #대출 꿀팁

      (주) 뱅크몰

      사업자 등록번호 : 
      107-87-86294 / 
      대표 :
      이종훈
      금융상품판매중개업 등록번호 : 
      제2021-022호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로2길 12, 9층 906호(에이스테크노타워)

      당사는 금융감독원에 등록된 온라인대출모집법인이며, 입점 금융사에 따라 상환기간, 이자율 등은 상이합니다.

      중개수수료 요구 및 수취는 불법입니다.

      대출상품 이용 시 귀하의 신용점수가 하락할 수 있으며, 신용점수가 하락하면 금융거래에 제약이 생길 수 있습니다.

      Copyrightⓒ BANKMAL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