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추석 물가 부담, 얼마나 올랐나? 똑똑한 장보기 전략

      2025. 10. 01
      주택담보대출 최대한도 확인

      올해도 추석이 성큼. 전단지 돌려보고, 장바구니 견적 뽑아보면 또 같은 말이 나와요. “물가가 또 올랐대…” 차례상은 의례이면서 동시에 생활비의 압축판. 무엇이, 왜, 얼마나 오르는지 이해하면 올 추석 지출을 꽤 줄일 수 있어요.



      1) 지금 체감 물가: 왜 이렇게 비쌀까?

      차례상 총액: 4인 기준 대략 30만~40만 원 선(간소화 정도에 따라 차이 큼).


      품목별 부담 포인트

      • 과일(사과·배): 작황·유통비·환율 영향으로 민감. 실속형·소과 세트로 대체하면 체감가가 뚝.
      • 단백질(한우·생선): 한우 1kg 9만 원대면 금세 예산 압박. 돼지고기/닭, 부위 변경으로 단가 낮추기.
      • 채소·나물: 기후 영향으로 출렁임 큼. 마감·직거래·대체 나물 활용이 해법.
      • 포인트: 추석 물가는 명절 특수 + 생활물가의 선행지표. 명절 지나도 식비·간식비·외식비에 파급돼요.


      2) 똑똑한 장보기 타이밍 3단계

      1. D-21 ~ D-14 (사전예약 시즌)
        선물세트·과일 실속형 최대 ~50% 행사. 인기 품목은 조기 품절 → 미리 예약.
      2. D-10 ~ D-5 (할인 집중 주간)
        정부·지자체·카드사 쿠폰 중첩, 1+1/대용량 묶음 다수. 정육/가공식품 이때.
      3. D-3 ~ D-1 (신선식품 피크)
        채소·수산물 마감 특가 노리기. 다만 인기 과일은 오히려 오름 → 최소 D-5 이전에 확보.


      장소별 전략

      • 전통시장: 평균 10~15% 저렴, 직거래 장터 추천. 오전 신선도↑ / 저녁 마감가↓
      • 대형마트·온라인: 멤버십·카드 중복 할인시 유리. 새벽배송은 품질·시간 이점.



      3) 품목별 세이브 스위치

      • 과일: 대과 세트 → 소과/혼합 실속팩, 수입 과일 → 제철 국내산.
      • 한우: 등심·안심 → 국거리/불고기/설도로 전환, 돼지 앞다리/목살 혼합.
      • 생선: 조기·도미 → 냉동 손질팩/대체 어종(가성비 좋은 고등어·갈치).
      • 나물: 시금치·고사리 단가 높으면 시판 손질나물 소포장 + 묵나물 혼합.
      • 전·부침: 재료 각개 구입 → 밀키트/반조리 일부 활용, 남은 전은 토스트/비빔/덮밥으로 리롤.


      4) 차례상 간소화 & 공동구매가 답

      • 간소화 원칙 3가지: 상징성 유지(대표 품목만), 중복 최소화, 남김 제로 설계.
      • 공동구매: 형제·친지와 대용량 나누기(배추·과일·육류). 1포기·1상자씩은 혼자 쓰기 과다.
      • 재활용 레시피 미리 계획:
        • 전 → 전토스트/유부초밥 토핑/덮밥
        • 나물 → 비빔밥/잡채/김밥
        • 고기 → 불고기볶음/유산슬/카레



      5) 실전 장바구니 체크리스트

      • 필수/선택 품목 구분(겹치는 전·과일 컷)
      • 총예산(예: 35만) & 카테고리 한도(과일 8만/단백질 12만/기타 10만…)
      • 쿠폰 + 카드 청구할인 중첩 적용
      • 전통시장/온라인 동시 비교(앱·전단지)
      • 보관 계획(냉장칸·냉동칸 자리 확보, 지퍼백/랩/보관용기)
      • 음식량 계산(1인 분량표로 과다 구매 방지)


      6) 예산 샘플(4인, 실속형)

      • 과일(소과 혼합팩) ₩12,000~15,000
      • 단백질(돼지 앞다리 1.2kg + 한우 불고기 600g) ₩35,000~55,000
      • 생선(손질 고등어/갈치 4~6팩) ₩20,000~30,000
      • 채소·나물·부침 재료 ₩30,000~40,000
      • 떡(송편/절편) ₩10,000~15,000


      → 총 30만 내외도 충분히 가능(쿠폰·마감·공동구매 활용 시)



      7) 명절 지출, 올해는 이렇게 막자

      • 규칙 1: 체면보다 남김 제로. “먹을 만큼만, 예쁘게.”
      • 규칙 2: 현금·상품권·온누리로 결제 포트폴리오 구성(할인/환급 챙기기).
      • 규칙 3: 용돈/선물 상한선 미리 합의(부모님·형제 간 기대치 조율).
      • 규칙 4: 체크리스트 + 영수증 사진 보관 → 내년 장보기 기준 데이터로.



      8) 마음 챙김도 전략입니다

      추석은 가족의 시간과 가계의 현실이 동시에 놓이는 자리. 무리한 과소비보다 의미 있는 시간 설계(함께 산책·사진·게임·영상통화)가 더 큰 만족을 줍니다. 전통은 정성으로 완성되고, 정성은 합리와 모순되지 않아요.


      추석 물가는 생활비의 거울.

      타이밍·대체·간소화·공동구매 4가지만 잡으면 20~30% 절약은 어렵지 않습니다.


      올해는 웃는 사진 많이 남기고, 남은 음식은 적게 남겨봅시다.

      • #경제 꿀팁

      (주) 뱅크몰

      사업자 등록번호 : 
      107-87-86294 / 
      대표 :
      이종훈
      금융상품판매중개업 등록번호 : 
      제2021-022호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로2길 12, 9층 906호(에이스테크노타워)

      당사는 금융감독원에 등록된 온라인대출모집법인이며, 입점 금융사에 따라 상환기간, 이자율 등은 상이합니다.

      중개수수료 요구 및 수취는 불법입니다.

      대출상품 이용 시 귀하의 신용점수가 하락할 수 있으며, 신용점수가 하락하면 금융거래에 제약이 생길 수 있습니다.

      Copyrightⓒ BANKMAL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