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소득으로 내 집 마련 가능할까? 지금 바로 비교해보세요
‘이 많은 집들은 다 누가 샀을까?’
누구나 한 번쯤은 해보는 생각이죠.
내가 집을 살 수 있을지, 다른 사람들은 어느 정도 소득과 나이에 집을 사는지 궁금하셨다면 지금 이 글이 딱입니다.
2024년 한 해 동안 뱅크몰을 통해 주택담보대출을 알아본 실제 사용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연 소득, 연령대, 주택 시세와 형태를 분석해봤습니다. 내 상황과 비교해보며 내 집 마련 계획을 세워보세요.
✔ 얼마나 벌어야 집을 살 수 있을까?
[가구 기준 연 소득 분포]
- 3,000만 원 이하: 15.48%
- 3,000만 원 ~ 6,000만 원: 32.71%
- 6,000만 원 ~ 1억 원: 32.15%
- 1억 원 초과: 19.56%
가장 많은 비중은 3천만~6천만 원 구간(32.7%), 그 뒤를 6천만~1억 원 구간(32.1%)이 잇고 있습니다.
맞벌이 또는 안정적인 소득 기반을 갖춘 가구가 가장 활발하게 주택을 구매하고 있다는 걸 보여주죠.
특히 1억 원 초과 가구도 5명 중 1명 비중(19.6%)을 차지해, 고소득층의 주택 구입도 여전히 활발한 편입니다.
✔ 어떤 연령대가 가장 많이 집을 살까?
[대출자 연령대 분포]
- 20대 이하: 9.21%
- 30대: 27.55%
- 40대: 34.56%
- 50대: 20.81%
- 60대 이상: 7.87%
주택담보대출 신청 연령은 30~50대가 전체의 82.9%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가장 높은 비중은 40대(34.6%), 뒤를 이어 30대(27.5%), 50대(20.8%) 순입니다.
특히 주목할 점은 20대 이하 비중도 9.2%로 결코 적지 않다는 점인데요, 생애최초 혜택을 받는 2030세대의 대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아파트, 빌라, 오피스텔 중 무엇을 선호할까?
[주택 형태별 비중]
- 아파트: 83.52%
- 빌라: 13.64%
- 오피스텔: 2.84%
예상대로 아파트가 압도적인 선호도를 보였습니다.
10명 중 8명 이상이 아파트를 선택했고, 나머지는 빌라(13.6%)와 오피스텔(2.8%)에 몰려 있었습니다.
공공기관 평가 기준, 대출 조건, 실거주 선호도 등 여러 요소가 아파트 집중 현상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입니다.
✔ 주택 가격은 어느 정도일까?
[구매 주택 시세 분포]
- 3억 이하: 22.22%
- 3~6억: 35.25%
- 6~9억: 21.47%
- 9~15억: 15.07%
- 15억 초과: 5.99%
3~6억 원 구간에 전체의 35.2%가 몰려, 가장 일반적인 주택 가격대임을 보여줍니다.
6~9억 원대도 21.4%로 많은 비중을 차지해, 신혼부부 특례나 신생아특례대출 조건에 맞는 주택 수요가 높음을 보여줍니다.
반면, 15억 원 초과 고가 주택은 6% 미만으로 확연히 수요층이 좁았습니다.
✅ 정리하면
구분 | 주요 내용 |
---|---|
소득 | 3천~1억 구간이 64% 이상 |
연령대 | 30~50대가 83% |
주택 형태 | 아파트 선호 압도적(83.5%) |
주택 시세 | 3~6억 원 구간이 가장 많음(35.2%) |
🎯 내 상황과 비교해보셨나요?
이 데이터는 전체 평균이므로 절대적인 기준이 될 수는 없지만,
내 집 마련 계획을 세울 때 참고할 만한 유용한 기준선이 될 수 있습니다.
"나는 연봉이 이 정도인데, 다른 사람들은 어떤 집을 샀을까?"
"지금 내 연령대라면 어떤 선택을 하는 게 현명할까?"
이런 고민이 있다면 지금이 바로 비교해볼 타이밍입니다.
주택담보대출 상품도, 대출 갈아타기도, 전세대출 조건도
당신에게 꼭 맞는 금융 조건은 따로 있을 수 있습니다.
금리비교부터 상품 추천까지,
한 번에 확인하고 싶다면 뱅크몰에서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