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 준비든, 단기 목돈 운용이든 “원금이 안전한” 상품부터 살피게 되죠. 그 대표가 정기예금과 정기적금입니다. 이름은 비슷하지만 납입 방식·이자 계산·유동성·활용 시나리오가 꽤 다릅니다. 아래 핵심만 쏙쏙 정리해 드릴게요.
1) 개념 & 한 줄 요약
정기예금: 목돈을 한 번에 맡기고 만기에 원금+이자 수령
한 줄 요약: 목돈 운용형, 수익 예측이 쉽고 안정적
정기적금: 매달 정해진 금액을 적립, 만기에 원금+이자 수령
한 줄 요약: 습관형 저축, 소액부터 차곡차곡
공통점: 원금보장, 예금자보호(1인당 5,000만원 한도, 동일 금융기관 기준).
2) 이자 계산의 차이 → 체감 수익이 달라요
구분 | 정기예금 | 정기적금 |
---|---|---|
납입 | 일시납(목돈) | 월납(분할) |
이자 발생 | 전액이 예치 기간 내내 | 매월 납입분마다 기간이 달라짐 |
체감 수익 | 동일 금리라도 더 높게 나오는 경향 | 동일 금리라도 낮게 느껴짐 |
예시(가정): 연 4%로
- 예금 1,200만원을 12개월 → 1,200만원이 12개월 내내 이자 발생
- 적금 100만원×12개월 → 첫 달분만 12개월 이자, 마지막 달분은 1개월만 이자
→ 같은 금리라도 예금 이자가 더 커지는 구조입니다.
3) 유동성(뽑아 쓰기 쉬움) 비교
- 정기예금: 만기 전 인출 시 중도해지 금리 적용, 상품에 따라 부분인출 불가
- 정기적금: 전체 목돈이 묶이지 않지만, 중간 해지 시 이자 손실이 큼
팁: 예금만으로 현금이 잠기지 않게, 생활비·비상금은 CMA/수시입출식으로 분리해두면 좋아요.
4) 누가 무엇을 고르면 좋을까?
목돈을 안전하게 굴리고 싶다 → 정기예금
은퇴자금, 목돈보관, 금리 확정 선호, 수익 예측이 중요할 때
소득에서 남는 돈을 습관적으로 모으고 싶다 → 정기적금
사회초년생/직장인, 손주 학자금·여행비 등 목표형 저축
혼합 전략(추천)
예금(안정·수익) + 적금(습관·목표자금) + CMA(유동성) 3분할이 실전에서 가장 편합니다.
5) 연령/상황별 전략
- 50대 후반: 아직 소득이 있으면 적금 중심 + 비상금 분리
- 60대 초반: 예금(목돈) + 적금(목표자금) 혼합
- 70대 이상: 예금 중심(단, 의료비 대비해 유동성 계정 별도 유지)
6) 세금 & 비과세 꿀팁
예·적금 이자는 15.4% 분리과세(소득세+지방세).
비과세종합저축 적극 활용(해당 시):
만 65세 이상, 장애인, 독립유공자, 기초생활수급자 등
1인당 최대 5,000만원까지 이자소득 전액 비과세
여러 은행 가능(총한도는 합산 관리)
전략: 우선 비과세 한도부터 채우고, 초과분은 고금리/우대 조건 예금으로.
7) 상품 고를 때 체크리스트(필수)
- 세후 수령액으로 비교(우대금리 포함/제외 둘 다 확인)
- 중도해지율과 부분 인출 가능 여부
- 금리 구조(단리/복리), 금리 변동/확정형 여부
- 우대 조건(급여이체, 자동이체, 카드실적 등) 실현 가능성
- 비대면 전용 상품도 반드시 비교(대개 금리 유리)
8) 예시 포트폴리오(총자산 1억원 가정)
정기예금 4,000만원(40%): 안정+예측 가능한 이자
CMA·수시입출식 2,000만원(20%): 비상금/의료비
정기적금 2,000만원(20%): 손주·여행·목표 저축
기타(연금/보험/채권 등) 2,000만원(20%): 장기 현금흐름
9) 자주 묻는 질문(FAQ)
Q. 적금 금리가 더 높은데 왜 수익은 예금이 더 큰가요?
A. 적금은 매달 분할 납입이라 평균 잔액이 낮습니다. 같은 금리라도 예금이 전체 금액에 장기간 이자가 붙어 체감 수익이 더 큽니다.
Q. 중간에 돈이 필요할 수도 있는데요?
A. 예금만으로 묶지 말고, 비상금 계정(CMA/수시입출식)과 만기 분산으로 유동성을 확보하세요.
Q. 예·적금만으로 충분할까요?
A. 단기·중위험 자금엔 탁월합니다. 다만 은퇴 생활비 전부를 예·적금만으로 충당하긴 어려우니, 연금/채권/현금흐름 자산도 함께 고려하세요.
결론: “예금은 안정, 적금은 습관”…둘 다 쓰면 더 강해집니다
목돈이 있다면 예금, 수입에서 남는 돈은 적금, 예상치 못한 지출은 CMA—이 3박자가 가장 실용적입니다.
여기에 비과세종합저축까지 더하면 세후 수익을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어요.
핵심은 내 현금흐름과 목표에 맞춘 혼합 설계입니다.
예·적금도 “비교”가 반은 이깁니다
대출 비교로 잘 알려진 뱅크몰은 예·적금 비교 서비스도 제공합니다.
은행·저축은행 등 다양한 상품의 금리·우대조건·세후 예상 수령액을 한 화면에서 확인하고, 내 조건에 맞는 상품을 고를 수 있어요. 대출과 저축을 한 곳에서 나란히 비교해 전체 재무 플랜을 짜기에도 편합니다.
금리만 보지 말고 세후 수령액과 중도해지/유동성 조건까지 함께 보세요.
헷갈리면 전문가 상담으로 내 상황(연령·소득·한도·비과세 여부)에 맞춘 조합을 추천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안정·유동성·절세의 균형, 오늘부터는 비교부터 시작하세요.